1. 밸류 전략 (Value Strategy)
- 전략: 저평가된 주식 선택 (PBR, PER, PSR 등 활용)
- 예시:
- 코스피 시가총액 하위 20% 종목 중 PBR 1 미만, PER 10 이하 종목 매수
- ex) 국내 은행주 (KEB하나은행, 신한지주 등) → 장기적으로 재평가될 가능성
- 장점: 안정성 높음, 하락장에서 강세
- 주의: 저평가 주식이 계속 하락할 수 있음 (Value Trap)
2. 모멘텀 전략 (Momentum Strategy)
- 전략: 최근 상승세가 강한 종목 매수
- 예시:
- 6개월 수익률 상위 10% 종목 선정 → 월별 리밸런싱
- ex) 반도체 주식 (삼성전자, SK하이닉스) → 산업 호황기 집중 투자
- 장점: 추세 따라 높은 수익 가능
- 주의: 갑작스러운 추세 반전 시 큰 손실 가능 (ex. 2022년 반도체 주가 급락)
3. 퀄리티 전략 (Quality Strategy)
- 전략: 재무적 건강성 높은 기업 선택
- 예시:
- ROE 15% 이상, 부채비율 100% 미만 종목 필터링
- ex) 코스피200 상위 종목 (셀트리온, NAVER 등)
- 장점: 장기적 성장성 확보
- 주의: 이미 고평가된 주식일 수 있음
4. 분산 투자 + 리밸런싱
- 전략: 자산군 분산과 정기적 조정
- 예시:
- 60% 주식(밸류+모멘텀 조합) + 40% 채권
- 분기마다 비율 재조정 (ex: 주식 70% → 60%로 매도)
- 장점: 변동성 감소
- 주의: 과도한 리밸런싱은 거래비용 증가
5. 단순화된 알고리즘 전략
- 전략: 이동평균선 돌파 전략
- 예시:
- 20일 이동평균선 상승 돌파 시 매수, 하향 돌파 시 매도
- ex) 삼성전자 2023년 백테스팅 결과: +22% 수익 (거래비용 제외)
- 장점: 감정적 결정 배제
- 주의: 횡보장에서 잦은 매매 발생
결론
✅ 초보자 추천 조합: 밸류(40%) + 퀄리티(40%) + 현금(20%)
✅ 필수 조건: 월 1회 리밸런싱, 손절 기준 -15% 설정
✅ 도구 활용: 한국거래소 API + 파이썬으로 자동화 (단순 조건식만으로도 가능)